청년 부동산

청년주택 소득 기준, 내가 해당될까? 계산법 정리

투치치 2025. 4. 29. 15:34
반응형

2025 청년주택 소득 기준 & 계산법

– 나도 해당되는지 셀프 확인법!

청년주택 소득 기준이란?

청년주택은 중위소득 대비 본인 소득이 기준 이하일 때만 신청 가능해요.
여기서 중위소득이란 대한민국 국민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딱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2025년 기준 1인 가구 **중위소득 100%**는
👉 월 2,600,974원 (세전)

대부분 청년주택은 중위소득 100% 이하,
역세권 청년주택은 120% 이하까지 신청 가능!

2025년 1인 가구 기준표

기준월 소득 (세전)
60% 1,560,584원
70% 1,820,680원
80% 2,080,779원
100% 2,600,974원
120% 3,121,168원

중위소득 100% 이하 → 행복주택 가능
중위소득 120% 이하 → 역세권 청년주택 가능

내 소득 계산법

본인의 월 소득을 아래 항목 기준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 월 급여(세전)
✔️ 프리랜서 → 최근 3개월 총수입 ÷ 3
✔️ 재직증명서+급여명세서 기준
✔️ 소득 없으면 0원으로 계산 (취준생 가능)

예시
월급 230만 원 → 2,300,000원
중위소득 100% 2,600,974원 이하니까 신청 가능!

소득 없는 취준생·대학생도 가능?

YES!
소득이 0원이라면 기준 이내로 무조건 해당돼요.
다만 부모 소득 기준을 따지는 경우도 있으니
모집공고별로 확인 필요.

대부분 청년주택(행복주택, 역세권 청년주택)은
본인 소득만 기준으로 보는 경우가 많음

자주 묻는 질문

❓ 세후소득 기준인가요?

➡️ 아니요. 세전 월급 기준

❓ 4대보험 안 되는 프리랜서인데 소득 인정되나요?

➡️ 최근 3개월 수입 증빙 가능하면 소득으로 산정

❓ 최근 퇴사했는데 가능할까요?

➡️ 퇴사 후 건보료 납부 없고 소득 0원이면 가능

❓ 학자금대출 상환금도 포함되나요?

➡️ 아니요. 순수 소득만 계산

요약

항목기준
청년주택 중위소득 100% 이하 (2,600,974원)
역세권 청년주택 중위소득 120% 이하 (3,121,168원)
계산법 월 세전 급여 / 프리랜서 최근 3개월 평균
취준생 소득 0원 가능

마무리 꿀팁

✔️ 소득 없거나 250만 원 이하라면 대부분 가능
✔️ 급여명세서, 건보료 납부내역 있으면 더 정확
✔️ 모집공고마다 부모소득 확인 여부 꼭 체크

“월급 적다고 움츠릴 필요 없음.
청년주택은 오히려 소득 낮을수록 더 유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