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청년 행복주택 총정리
– 신청방법부터 후기까지 한눈에
청년 행복주택이란?
국토부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 SH공사 등이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으로,
청년·신혼부부·사회초년생에게 시세의 60~80% 저렴한 임대료로 제공하는 주거지원 정책입니다.
거주 대상 | 만 19~39세 대학생, 취준생, 사회초년생 |
거주 기간 | 최소 2년 ~ 최대 6년 (조건 따라) |
월 임대료 | 시세 대비 60~80% 수준 (관리비 별도) |
입주 조건 | 무주택자 + 소득·자산 기준 충족 |
전용면적 | 16~36㎡ (1인 가구용 주로 20㎡ 내외) |
신청 자격
나이 | 만 19세 이상~만 39세 이하 |
소득 | 월 평균소득 100% 이하 (청년 기준 약 250만 원 이하) |
자산 | 총자산 3억 5천만 원 이하, 자동차 3,683만 원 이하 |
주거 | 무주택 세대주 or 세대원 (부모 집 전입 가능) |
✅ 대학생, 대학원생, 취업준비생(최근 2년 이내 졸업/중퇴 포함)도 가능
✅ 중소기업 재직자, 사회초년생도 가능
신청 방법
① 모집공고 확인
- LH 청약센터 (apply.lh.or.kr)
- SH공사 (서울시청약)
- 연 2~3회 지역별 모집공고 확인 가능
👉 모집 일정 놓치지 않으려면
LH 청약센터 알림 신청 필수
② 온라인 청약 신청
- LH/SH 홈페이지 로그인
- 공고 확인 → 거주지/자격 선택 → 청약 신청
- 필요 서류는 입주자 선정 시점에 제출
③ 입주자 선정 & 발표
- 가점+추첨 혼합 방식
- 고득점자 우선, 동일점수 시 추첨
- 당첨자 발표는 홈페이지 및 개별 문자 통보
④ 계약 및 입주
- 선정되면 계약금 (임대보증금 5~10%) 납부
-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등록
실제 후기 모음
📍 “월세 20만 원에 방 깨끗, 역세권이라 만족”
원래 반지하 살다 옮긴 자취생 후기
“관리비 포함 28만 원인데 엘리베이터에 CCTV까지 있어 안심.”
📍 “방은 좁은데 월세 부담 없어서 돈 많이 모았어요”
사회초년생 후기
“월세 20만 원+관리비 7만 원, 주변 원룸은 50만 원 넘는데 행복주택 덕에 매달 30만 원 저축 가능.”
📍 “신축급인데 월세 25만 원? 무조건 해야죠”
대학원생 후기
“LH에서 관리해주니까 하자 있으면 바로 AS 오고, 시설도 깔끔.”
주의할 점 & 팁
✔ 신청자격 세부조건 꼼꼼히 확인
→ 소득/자산 기준, 무주택 여부
→ 재직/재학/졸업 증명서류 필요
✔ 모집공고마다 경쟁률 천차만별
→ 역세권·서울권은 50:1 넘기도
→ 경기·인천은 5:1 이하인 곳 많음
✔ 신청 가능 지역 중 2~3곳 동시 지원 추천
→ 중복청약 가능 (단, 중복당첨은 불가)
✔ 전입신고, 확정일자 필수
→ 전세자금대출이나 월세지원 연계 가능
요약
신청 대상 | 만 19~39세 대학생, 취준생, 사회초년생 |
월 임대료 | 20~35만 원 (관리비 별도) |
신청 방법 | LH/SH 홈페이지 청약 |
거주 기간 | 최대 6년 (조건에 따라) |
경쟁률 | 역세권 50:1, 외곽 5:1 이하 |
마무리 한마디
청년 행복주택은 요즘같이 월세 부담 큰 자취생, 사회초년생에게 진짜 혜택이에요.
공공임대라 시설 관리도 잘 되고, 무엇보다 월세가 절반 수준이라
자금 모으기에도 유리하고, 생활도 훨씬 안정됩니다.
“나는 안 될 거 같다고 생각 말고,
조건만 맞으면 청약은 일단 넣어보는 게 정답!”
'청년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쟁률 낮은 청년주택 지역은 어디? 당첨 확률 높이기 (4) | 2025.04.28 |
---|---|
서울시 청년 임대주택 신청 꿀팁 (2025 업데이트) (3) | 2025.04.28 |
청년 보증금 대출, 이자 낮은 은행은 어디일까? (11) | 2025.04.24 |
무직자도 청년 전세대출 받을 수 있을까? 실사례로 확인 (5) | 2025.04.23 |
청년 전세대출 가능한 은행 TOP 5 비교 분석 (8)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