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청년 임대주택 신청 꿀팁 (2025 최신판)
서울시 청년 임대주택이란?
서울시와 SH공사가 운영하는 공공임대주택으로
만 19~39세 무주택 청년에게 시세보다 저렴하게 임대하는 주거복지 정책이에요.
거주 대상 | 만 19~39세 무주택 청년 |
거주 형태 | 역세권 청년주택 / 행복주택 / 역세권 콤팩트 |
월 임대료 | 시세 60 |
거주 기간 | 2~6년 (조건 충족 시 연장 가능) |
신청 시기 | 상·하반기 연 2회 + 수시 모집 |
2025 주요 변경 사항
✅ 역세권 청년주택 신규 공급 확대
→ 동작구, 성동구, 강동구 쪽 신규 단지 오픈 예정
✅ 신청 가능 소득 기준 상향
→ 기존 ‘중위소득 100% 이하’ → 120% 이하로 확대
(2025년 1인 가구 기준 월 250만 원 → 300만 원까지 가능)
✅ 중복청약 가능 지역 확대
→ 신청할 때 서울 내 최대 3곳 동시 지원 가능
신청 방법 (2025년)
1️⃣ 서울주거포털 (housing.seoul.go.kr) 접속
2️⃣ 모집공고 확인
3️⃣ 본인 조건에 맞는 임대주택 유형 선택
4️⃣ 온라인 청약 신청
5️⃣ 1차 자격심사 → 2차 추첨
6️⃣ 당첨자 발표 및 계약
✅ 모바일 신청 가능 (서울주거포털 앱)
✅ 공고는 연 2회 (상반기 35월 / 하반기 911월)
준비하면 유리한 서류
주민등록등본 | 주민센터 |
가족관계증명서 | 주민센터 or 정부24 |
소득금액증명원 | 홈택스 |
건강보험납부확인서 | 국민건강보험공단 |
무주택 확인서 | 한국부동산원 or 공인중개사협회 |
대학(원) 재학/졸업증명서 | 학교 행정실 |
💡 청약 전 미리 발급 받아놓으면 모집공고 뜰 때 빠르게 신청 가능!
당첨률 높이는 꿀팁
✔ 신규 공급 단지 & 경쟁률 낮은 지역 노리기
→ 강남·마포·서대문보단 동대문, 중랑, 강북구 지역 당첨률 높음
✔ 1순위 자격 확보
- 만 19~39세 + 무주택 + 서울 거주 기간 길수록 유리
- 대학생 / 사회초년생 / 청년층 가점 높음
✔ 공고마다 복수 지원 활용
- 1지망 경쟁률 높으면 2·3지망으로 밀어넣기 가능
- 수시모집 상시 체크 → 경쟁률 낮을 때 바로 신청
✔ 전입신고 필수
- 서울 거주자 우대 → 전입신고 후 1년 이상 거주 시 가점
실제 후기
📍 “관리비 포함 30만 원에 역세권 오피스텔급 방이라 만족”
원룸 월세 60만 원에서 행복주택으로 옮긴 사회초년생 후기
“CCTV, 엘리베이터, 공용세탁실, 택배함까지 편하고 월세 반값”
📍 “경쟁률 덜한 중랑구 신청했더니 한 번에 당첨”
강북권으로 눈 낮추니 당첨 확률 급상승
📍 “학교 근처 역세권 청년주택 덕에 교통비도 아껴요”
2호선 라인 청년 후기
“교통편 좋은 곳인데 월세 23만 원이라 부담 없어요”
요약
대상 | 만 19~39세 청년 |
소득 | 중위소득 120% 이하 (월 300만 원) |
월세 | 10~40만 원 (관리비 별도) |
신청방법 | 서울주거포털 |
경쟁률 낮은 지역 | 중랑구, 강북구, 동대문구 |
마무리 한마디
서울살이, 월세 절반으로 버틸 수 있는 기회!
청년 임대주택은 임대료+교통비+주거 안정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현실적인 청년 주거 혜택이에요.
“조건만 맞으면 무조건 신청하세요.
안 되더라도 청약 경험 쌓는 것도 중요한 자산!”
'청년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주택 소득 기준, 내가 해당될까? 계산법 정리 (3) | 2025.04.29 |
---|---|
경쟁률 낮은 청년주택 지역은 어디? 당첨 확률 높이기 (4) | 2025.04.28 |
청년 행복주택 신청방법부터 후기까지 한 번에 정리 (4) | 2025.04.28 |
청년 보증금 대출, 이자 낮은 은행은 어디일까? (11) | 2025.04.24 |
무직자도 청년 전세대출 받을 수 있을까? 실사례로 확인 (5) | 2025.04.23 |